체류 외국인 260만 시대, 기업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 사이트
https://welaunch.kr/category/%EA%B8%80%EB%A1%9C%EB%B2%8C
대한민국이 본격적인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진입했다. 2025년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0만 명을 돌파하며, 이는 경상북도(255만 명)와 맞먹는 규모다. 전체 인구의 약 5%를 차지하는 이 거대한 집단은 이제 산업 현장과 소비 시장, 지역 사회 곳곳에서 ‘또 다른 시민’으로 자리 잡았다. 이 변화에 맞춰 국내 기업들의 서비스 전략 역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외국인 채용 시장, 플랫폼이 앞장선다
외국인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채용 플랫폼 업계가 가장 먼저 움직였다. 원티드랩은 외국인 전용 채용 서비스 ‘원티드 글로벌’을, 잡코리아는 28개 언어 번역 기능과 비자·언어·근무지역 등 세부 항목을 지원하는 ‘클릭(KLiK)’을 선보였다. 사람인 역시 비자 발급 케어 서비스를 연동하는 등 외국인 채용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 플랫폼은 단순히 언어 장벽을 낮추는 데 그치지 않고, 외국인 구직자의 국내 정착을 돕는 행정 서비스, 비자 컨설팅, 인공지능(AI) 매칭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결합해 외국인 인재와 기업 간의 매칭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는 경기 침체와 내국인 채용 축소로 대체 시장을 모색하는 플랫폼 업계의 전략적 변화이기도 하다.
⎜산업 현장, 외국인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다
외국인 취업자 수는 2024년 100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체류 외국인의 65%가 취업자이며, 특히 조선업·건설업 등 내국인 기피 업종에서 필수 인력으로 자리 잡았다. 정부는 비전문 외국인력(E9) 고용 쿼터를 대폭 확대하고, 음식점업 등으로 허용 업종을 넓히는 등 외국인력 유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지방 중소도시와 산업단지에서는 외국인 근로자가 지역 경제의 핵심축이 됐다. 예를 들어, 전남 영암군 삼호읍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35%에 달할 정도다.
⎜금융·유통·생활 서비스, 외국인 맞춤화 가속
외국인 고객을 겨냥한 금융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우리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은 외국인 근로자 전용 상품, 다국어 안내, 송금 서비스 등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유통업계와 통신사, 부동산·행정·생활 플랫폼 등도 다국어 지원, 비자·거주·취업 연계, 문화 적응 지원 등 외국인 특화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외국인 인구의 증가는 생산인구 감소, 산업 인력난, 지방 소멸 위기 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완화하는 한편, 새로운 내수시장과 소비 트렌드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불법체류자 관리, 차별 경험 해소, 언어·문화 장벽 극복, 서비스 리텐션 등은 여전히 남은 과제다.
정부는 외국인력 정책 컨트롤타워 신설, 불법체류 감축, 체계적 관리 방안 마련 등 제도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260만 체류 외국인 시대, 기업들은 외국인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하며 서비스 혁신에 나서고 있다. 채용 플랫폼, 금융, 유통, 생활 서비스 전반에서 외국인 특화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 변화는 앞으로 기업들이 기존 사업과 새로운 사업을 준비할 때 챙겨야할 중요한 포인트가 되었다.
Welaunch 김선호 기자
스타트업 뉴스 플랫폼, 위런치
© 2024 Welaunch.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기고 : editor@welaunch.kr
광고/제휴 문의: we@welaun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