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 APEC 퓨처테크포럼서 AI 전략 제시...기술 자립과 신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25 APEC 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 협력을 두 축으로 한 AI 전략을 한국과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AI 발전 모델로 제시했다. SK그룹이 주관한 이번 포럼은 28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열렸으며, 미국·싱가포르·페루 등 APEC 주요국 정부·기업·학계 관계자와 국내 AI 리더들이 참여해 글로벌 AI 생태계 방향을 논의했다.
최태원 회장은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며 AI가 국가 성장엔진이자 안보 자산으로 부상한 상황을 진단했다. OpenAI의 ChatGPT를 ‘AI 쇼크’로 칭하며 글로벌 강대국들의 AI 인프라·기술 확산 경쟁을 지적하고, AI 도입 여부에 따라 개인·기업·국가 간 격차가 확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의 사례로 민관 협력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등 ‘기술 자립’과 글로벌 기업과의 ‘신뢰 기반 협력’을 강조하며, “조화롭게 균형을 잡는 것이 과제”라고 밝혔다. 신뢰 협력 사례로 SK-AWS ‘SK AI 데이터센터 울산’(2027년 100MW 준공 목표)과 Open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을 제시했다.
■ 글로벌 AI 리더 총출동…하정우 수석 “AI 3대 강국 전략”, AWS·네이버·OpenAI 혁신 공유
포럼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AWS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Open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CEO, 사이먼 밀너 Meta 부사장, 최예진 스탠퍼드 HAI 교수,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 AI 리더 등이 연사·패널로 참여했다. 하 수석은 기조연설에서 이재명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을 소개하며 “고품질 특화 데이터 확보와 AI 고급 인재 양성으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기업·국민·글로벌 파트너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최 회장의 자립·협력 모델에 공감했다.
매트 가먼 AWS CEO와 니틴 미탈 딜로이트 리더는 ‘AI와 지역 혁신의 미래’ 대담에서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AI 방향을 공유했다.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OpenAI 총괄, 사이먼 밀너 Meta 부사장은 각사 AI 혁신과 산업 적용 사례를 발표했다. 유영상 SKT 사장은 하 수석·김경훈 총괄·최예진 교수·니틴 미탈 리더와 함께 APEC 국가의 AI 혁신·윤리·성장 전략을 30분간 토론하며, AI가 APEC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 SK, ‘K테크 쇼케이스’로 AI 인프라 역량 과시…한국, 글로벌 AI 테스트베드 부상
SK그룹은 포럼과 연계해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K테크 쇼케이스’를 열고 SK텔레콤·SK하이닉스·SKC·SK엔무브의 반도체·냉각·운영·보안 등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SK는 AWS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 OpenAI와 서남권 데이터센터 협력을 통해 한국을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육성 중이다. 최 회장은 반도체·에너지 병목 현상에 대해 “한국이 빠르게 적응해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며, 한국의 AI 확산·진화 속도가 글로벌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SK그룹은 “자립과 협력 두 축의 AI 전략이 한국·아시아·태평양을 넘어 글로벌 AI 미래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11월 3일 ‘SK AI Summit’에서 가치 창출형 AI 생태계 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2025 APEC 의장국 한국의 AI 리더십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 국내 AI 시장은 2030년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으로, SK의 민관·글로벌 협력 모델이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Welaunch 이나은 기자
스타트업 뉴스 플랫폼, 위런치
© 2024 Welaunch.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기고 : editor@welaunch.kr
광고/제휴 문의: we@welaun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