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런치 로고
한미, 관세 15% 무역협정 전격 타결…2주 이내에 한미 정상회담

Welaunch
Welaunch
·
1일 전

한미, 관세 15% 무역협정 전격 타결…2주 이내에 한미 정상회담

소식발행일
 
관심
23
1,496
태그
사이트
https://welaunch.kr
구독
좋아요
공유
신청
2025년 7월 31일, 한국과 미국이 전격적으로 무역협정에 합의하며 관세·투자·에너지 분야에서 대규모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이번 협정으로 미국은 한국산 수입품에 적용되던 기존 25% 관세를 15%로 인하하며, 한국은 미국 내 총 3,500억 달러(한화 약 500조 원) 규모의 투자와 1,000억 달러(약 140조 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LNG 등) 제품 구매를 이행하기로 했다. 이 협정은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되며, 한국은 에너지 수입 확대와 미국산 자동차·농산물 등에 대한 시장 개방 폭 확대에도 합의했다. 이는 사실상 한미 간 ‘포괄적 경제동맹’에 준하는 조치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양국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하는 계기로 분석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15% 타결 소식에 대해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과의 협상에서 큰 고비를 넘겼다”며 정부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SNS에 올린 메시지에서 “이번 관세협상은 우리 국민주권 정부의 통상 분야 첫 과제였고, 촉박한 기간과 녹록지 않은 여건 속에서 국익 최우선을 원칙으로 임한 결과로,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과 완전한 무역협정에 도달했다”며 “2주 이내에 한미 정상회담을 열어 협정 이행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협상은 한미 양국 대표단이 불과 1시간 이내의 집약적 회의를 통해 급속히 타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 산업계 영향 • 관세 인하 효과: 15%로 낮아진 대미 관세는 한국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 일부 회복을 기대하게 하나, 여전히 미국 내 보호무역 기조는 유지되는 셈이다. • 국내 기업 재무 부담 증가: 미국 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와 1,000억 달러 상당의 에너지 구매 약속은 일부 대기업 중심의 재무·설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 농축산·자동차 업계 타격 가능성: 미국산 제품에 대한 시장 개방 확대는 국내 농업·자동차 산업의 경쟁 심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일부 중소업체의 구조조정 가능성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협정은 미국이 동맹국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하고, 에너지 수출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전략의 일환”이라며 “한국 기업들은 미국 중심의 무역구조 변화에 보다 정교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다른 무역 전문가는 “미국과의 유사 조건 협상이 일본, EU 등 다른 주요국에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세계 무역질서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각국의 전략적 자원 투자와 정치적 합의가 기업 환경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Welaunch 김아현 기자 스타트업 뉴스 플랫폼, 위런치 © 2024 Welaunch.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기고 : editor@welaunch.kr 광고/제휴 문의: we@welaunch.kr

Welaunch
Welaunch
다른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