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5, 기술 혁신의 미래를 여는 글로벌 전시회 개막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IT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가 7일(미국 현지시간, 오전 9시) 개막한다. 행사는 오늘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Dive In’(몰입하라)이라는 주제로 진행될 이번 전시회는 기술을 통해 전 세계를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나가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CES 2025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160여 개국에서 약 4,500여 개의 기업이 참가하고, 전시 공간은 24만m²에 달하며, 약 14만 명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참가가 두드러지며, 한국은 1,00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하여 미국과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번 CES의 핵심 기술 키워드는 인공지능(AI), 차량 기술과 첨단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이다. AI 기술은 전시회 전반을 주도하며, AI 관련 제품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해 다양한 첨단 기술과 제품들이 선보일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AI홈’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기술은 냉장고, 세탁기 등 집안의 모든 가전을 하나로 연결해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LG전자는 AI 기술을 적용한 미래형 모빌리티의 청사진을 제시할 계획이다.
또한,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도 이번 CES의 중요한 키워드로 자리잡는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글로벌 기업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며, 정화기술, 친환경 에너지 기술, 에너지 저감 기술, 폐기물 재활용 기술, 배터리 기술 등 다양한 혁신적인 솔루션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AI, 사물인터넷(IoT), 원격의료,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혁신적인 솔루션들이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AI 솔루션을 활용한 건강 측정, 분석, 치료, 진단 기술들은 의료 서비스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친환경,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거대언어모델(LLM), 기기 확산 등 다양한 기술들이 핵심 이슈로 떠오를 예정이다. 고성능 센서와 자율주행 응용, 실내 공간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 등이 주요 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메타버스 관련 기술도 큰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혼합현실(MR)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응용 사례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특히 한국 기업들의 참가가 두드러진다. 스타트업관에는 전체 1,300여 개 참가사 중 한국 기업이 625개로, 전체의 48%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보인다. 이는 산업부, 중기부, 서울시, 경기도 등 중앙정부와 지자체, 대기업 및 대학 스타트업들이 해외 수출을 지원한 결과로 분석된다.
CES 2025는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행사로, 특히 AI 기술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혁신을 이끌어낼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전 세계 기술 기업들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더욱 발전된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들이 선보일 CES 2025는 글로벌 기술 산업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장이 될 것이다.
Welaunch 김아현 기자
스타트업 뉴스 플랫폼, 위런치
© 2024 Welaunch.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기고 : editor@welaunch.kr
광고/제휴 문의: we@welaun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