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 CES 2025서 "AI는 선택 아닌 필수... 대한민국 경쟁력 위협받을 수도"
최태원 SK 회장이 8일(현지 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를 찾아 SK의 AI 사업 비전과 대한민국의 AI 경쟁력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최 회장은 전시관을 둘러본 뒤, 국내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의 만남, SK의 AI 전략, 그리고 대한민국의 AI 산업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발언을 이어갔다.
최 회장은 젠슨 황 CEO와의 논의에 대해 “서로 여러 사업 관련 논의를 나눴다”며, SK하이닉스와 엔비디아의 협력과 개발 경쟁을 언급했다. 그는 “기존에는 엔비디아가 더 빠른 개발을 요구했지만, 이제는 SK하이닉스가 선제적으로 개발 속도를 높이며 헤드투헤드(Head-to-Head)로 협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엔비디아는 컴퓨팅 솔루션을 가장 효율적으로 만드는 회사라는 점에서 매우 체계적으로 움직이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CES에 대한 소감으로 최 회장은 “이번 전시는 AI가 모든 산업에 스며들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했다”며, 로봇과 주변 기기 등 피지컬 AI의 일상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AI는 더 이상 개별 기술이 아니라 산업 전반을 변화시키는 전방위적 혁신의 중심”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SK의 AI 사업 전략에 대해 “현재는 AI 반도체를 개발 중이지만, 앞으로는 AI 데이터 센터 솔루션 모델을 찾고 이를 중심으로 AI 데이터 비즈니스를 중점 추진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그는 AI가 한국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력을 경고하며, “AI 경쟁에서 뒤처지면 반도체, 조선, 철강 등 우리의 주력 산업도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AI 산업이 증기기관이나 인터넷 환경과 같은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하며, “최전선에서 변화를 이끌어갈 것인지, 따라갈 것인지에 따라 경제적 운명이 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대한민국의 AI 산업 발전을 위해 특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스스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개발하고, 제조업이나 로봇 등 특정 분야에 집중된 AI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특화 없는 전반적 성장만을 추구할 경우, 세계적 경쟁에서 밀릴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AI 인프라와 교육의 중요성도 언급됐다. 최 회장은 “AI를 상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람, AI를 연구하고 실험해 결과를 낼 수 있는 기본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며, 교육과 인프라 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또한, “AI 기술과 인프라를 외국에만 의존한다면 미래를 스스로 개척하기 어려운 상황이 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
최 회장은 “AI는 이제 선택 사항이 아니라 우리가 반드시 해야만 하는 기술”이라며, 대한민국이 AI 경쟁에서 주도적 위치를 확보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끝으로 “AI는 국가와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라며, “대한민국이 이를 주도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Welaunch 김아현 기자
스타트업 뉴스 플랫폼, 위런치
© 2024 Welaunch. All Rights Reserved
보도자료/기고 : editor@welaunch.kr
광고/제휴 문의: we@welaunch.kr